1.형사 소송법의 개정에 대하여
(1)조사 가정의 녹음,녹화 재도의 도입
- 재판 원 재판 대상 사건은 피의자의 조사의 녹음,녹화 의무가 있습니다. 조사의 무든가정이 녹음,녹화 됩니다.
- 검찰관은 피고인의 진술 조소의 임의성이 문제로 되면 조소의 작성 가정의 녹음,녹화기록을 제출해야 합니다.
(2)사법 거래 제도
사법 거래는 피의자,피고인이 범죄 수사에 협력하는 대신에 변호인의 동의가 있으면검찰관이 혜택을 부여하는 것을 합의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모든 사건에는 적용되지않습니다. 조직 범죄,제정 경제 범죄 등 한정되고 있습니다.
문제점
- 허위 진술의 가능성이 있다.
사법 거래를 하는 사람이 책임 전환을 하는 것이 생각됩니다. - 수사관의 뜻대로 진술이 만들어 지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3)형사 면책 제도
146조에서 「누구나 자기가 유죄판결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증언을 거부할 수있다. 」고 보장된 증언 거절 권을 그 증인의 사건에 증거로 사용 안하는 대신에박탈하는 제도입니다. 무든 사건이 대상입니다. 이 제도도 허위 증언이 발생하는 가능성이있습니다.
2.감청 법의 개정
감청 법이란 수사 기간이 통신 관련 회사에서 수사 목적으로 통신을 도청하는 법률입니다.대상 사건은 「약물 관련 범죄」「총기 관련 범죄」「집단 밀항 범죄」「조직적 살인」 의4개 입니다.
(1) 폭발물 사용,미수(폭발물 단속 처벌1조,2조)
(2) 형법 관계
- 현주 건물 방화(형법108조)
- 살인(형법199조)
- 상해, 상해 치사(형법204조,205조)
- 체포 감금(형법220조), 체포 등 치사상(형법221조)
- 미성년자 약취,유괴 등(형법225조~228조)
- 절도(형법235조),강도(형법236조),강도 치사(형법240조),미수
- 사기 등(형법246조,246조의2),공갈(형법249조1항),미수
3.조직적 범죄의 처벌,범죄 수익의 규정에 관한 법률
조직적으로 일으켜진 살인,사기죄를 형법으로 처벌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무겁게처벌하는 것입니다.
4.인터넷에 관한 범죄
①전자 계산기 파괴 등 업무 방해 죄(234조의2제1항)
본죄는 컴퓨터에 대한 가해 행위를 업무 방해죄의 한 유형에 해서 무겁게 처벌합니다.
(5년 이하의 징역,100만엔이하의 벌금)
②부정 액세스 금지법
남의 컴퓨터에 부정 액세스해서 부정 이용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규정입니다.
(1년이하의 징역,50만엔이하의 벌금)
③부정 지령 전자적 기록에 관한 죄(형법168조의2제1항)
「정당한 이유없이 」「남의 전자적 계산기에 사용하는 목적으로」 바이러스를작성,제공하는 행위,「정당한 이유없이」 바이러스를 남의 전자 계산기에 작용시키는행위가 처벌됩니다.(3년이하의 징역50만엔 이하의 벌금)
④전자 계산기 사용 사기죄(형법246조의2)
컴퓨터를 사용해서 허위 정보를 작성하거나,부정 처리를 해서 사기한 경우처벌됩니다.(10년이하의 징역)
⑤지불 용 카드 전자적 기록에 관한 죄(163죄의2)
⑥전자적 기록 부정 작성 죄(형법161조의2)
남의 서무 처리를 오도 목적으로 그 처리에 이용하는 권리,의무,사실 증명에 관한 전자적기록을 작성하면 성립하는 범죄(5년이하의 징역,50만엔 이하의 벌금)
5.형법의 개정(2016년6월23일 시행)
①증인 불 출두(형사 소송법151조)、선서 증언 거부(161조)
⇒1년 이하의 징역,30만엔 이하의 벌금
※증인으로 소환을 받고 정당한 이유없이 출두 안하는 경우 성립합니다.
②범인 은닉(형법103조)
⇒3년 이하의 징역,30만엔 이하의 벌금
※범인을 은닉한 경우 처벌됩니다. 남의 형사 사건의 증거를 인멸,위조한 사람도처벌됩니다.
③증인 협박(2년 이하의 징역,30만엔이하의 벌금)
⇒2년 이하의 징역,30만엔 이하의 벌금
※자기 혹은 남의 형사사건의 수사,신판에 필요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 대하여정당한 이유 없이 면회를 강요,협박한 사람을 처벌합니다.
④조직적인 범죄의 범인 은닉,증거 인멸,증인 협박(조직 범죄 처벌 법)
⇒5년 이하의 징역,50만엔 이하의 벌금
변호사 법인 아이 치 형사사건 법률 사무서에서는 상기 각 사건에 관하여 경험이 많은변호사의 조언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형사사건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변호사가 직접 무료상담을 합니다.